약의 이름이 다르더라도 약효는 동일하다? yes
약의 복용은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참는 것이 낫다? no
약의 복용에는 남자와 여자 차이가 없다? 여성이 골격근이 더 적으므로 조금 복용
약이란? 질병의 예방, 치료,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
약사법- 대한약전에 수재된 적으로 의외약품이 아닌 것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진단, 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구, 기계 가 아닌것
사람 또는 동물의 구조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주기 위한 것
약의 근원은 식물 (1 식물의 우연한 섭취 , 2 치료사 성직자 정치가의 영향력 (히포크라테스, 허준)
디기탈리스 (꽃) 심장질환의 묘약- 울혈성 심부전 질환 개선 (디기톡신)
마리아엉겅퀴 (꽃) (실리마린)- 간장약 – 간을 보호해주고 건강을 유지해주는 약
약의종류
1. 전문의약품
병원에서 의사 처방에 의해서만 구입할 수 있는 약
약리작용 또는 적응증, 투여경로 감독, 부작용있는 경우, 마약,향정신성의약품, 오남용 우려
2. 일반의약품 OTC
약국에서 파는 거
3. 독, 극약
독: 약 중에서 치사율이 가장 높은 약
극약: 많은 양을 쓰게 되면 치사량이 되나 적당량이면 질병 치료가능 (타이레놀)
모든 약은 극약에 속한다
4. 향정신성 의약품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흥분하거나 억제시키는 의약품(수면제 , 신경안정제)
5. 마약
향정신성 의약품보다 더 강력한 금단현상 유발 (모르핀은 효과적인 진통제)
헤로인 데메롤 코데인 코카인 대마 마리아나 등
약의이름
1. 화학명 : 유기화학에서 사용하는 공인된 명칭
2. 일반명: 화학명보다 짧으며 대한약전에 수록할 때 사용하는 이름
3. 상품명: 일반명에 각 제약회사 마다 이름지어 판매
일반명, 성분명을 봐야함 이름은 달라도 약효는 동일하기 때문에
신약특허로 보호 기간 만료 후 다른 제약회사가 특허를 받아 판매하는 것 : 제네릭 드럭 (카피약)
성분명이 같고/ 제형과 함량이 같아야함/ 동일 약효로 인한 대체조제가 가능해야함
제네릭 드럭의 장점
-신약 가격보다 약 50% 정도 저렴
-약에 대한 환자들의 접근성이 좋아짐
의약외품
1. 구취 또는 체취 방지제
2. 탈모방지제, 발모촉진제
3. 파리, 모기 등의 구제제
4. 인체에 작용이 경미한 염모제 (염색약)
5. 위생상 사용되는 면류(면반창고, 면봉)
약은 질병에 어떻게 적용이 될까요?
질병을 치료하는 약: 질병의 발병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시켜 주는데 사용하는 약 (원인요법) 항생제,항암제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 발병 또는 신체이상 발생시 나타나는 발열, 통증, 부종, 피로, 구토, 기침 등 증상들을 가볍게 해주기 위해 투여 (대증요법) 해열제, 진통제, 감기약
결핍을 치료하는 약: 인체에 부족하면 질병을 일으키게 되는 물질을 보충시켜주는 약(보충요법) 비타민, 효소
필리푸스 파라켈수스가 한 말: 모든 약물은 바로 독물이며, 다만 용량이 문제일 뿐 독성이 없는 약은 없다
적절한 용량과 용법, 셀프 모니터링 필요
탈리도마이드 : 독일에서 개발한 수면진정제 / 입덧 개선효과-> 기형아 출산
벤 존슨 : 도핑테스트 -> 금매달취소
약물투여 : 적정량 , 투여시간
1. 경구투여: 구강으로 약물투여 / 소장에서 흡수
Streptomycin, gentamicin : 경구흡수 안됨 주사제 사용
Nitroglycerin: 위에서 약효가 없어짐 설하제, 패취제 사용
2. 비경구투여: 주사, 흡입, 도포 등으로 약물 투여
약물분포: 분포가 되지 않는 약은 투여해도 효과없음/ 투여 후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분포
약물배설:
1. 신장-비타민, 요로항생제
2. 소화기-모르핀, 철분제 (변 색깔)
3. 폐- 알코올, 휘발성 약물
4. 태반- 분자량 작은 약물 – 항생제 호르몬 알코올 담배
5. 유선- 수면제, 안정제 호르몬제 항생제
간 기능 떨어진 사람은 약의 투여량 조절 필요
'생활 정보-_-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적 위험/정치적 주권: 글로벌 마케팅 예 (0) | 2022.11.01 |
---|---|
언어 종교 미적감각이 글로벌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0) | 2022.10.31 |
세계 금융 위기: 서프 프라임 모기지론 정리 (0) | 2022.10.17 |
약의 투여방법/ 복용 시간/ 약물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 2022.10.11 |
댓글